‘경풍도’ 향악정재로써 조선 시대 궁중 정재 무용의 전성기였던 순조 시대에 비롯한 것이다. 이는 선모와 다섯 명의 무원이 풍년을 하송하는 춤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춤의 구성을 보면, 먼저 선모가 경풍도를 들고 나아가 탁자 위에 놓고 나간다. 그런 다음 협무 다섯 명이 가곡 편에 맞추어서 창사를 부른다. 순조 무자 진작의궤에 의하면 그 악장은 예제로 사언에 속하고 국한문 가사로 된 창사라고 전한다. 이 내용은 ‘올해도 풍년이고, 내년에도 풍년이라. 연중 풍년이니 만민이 장재 풍년 중이로다. 선인이 봉옥함하니 1폭 경풍도로다. 가화구수니 송아 왕덕이셨다.’는 내용이다. 창사를 한 다음에는 선모와 그를 따르는 선무 다섯 명이 상대, 진퇴, 회선 등의 춤을 추면서 풍년을 원하며 함께 즐긴다. 이는 해마다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나온 춤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춤은 현재에는 전하지 않으나 백우호령과 백우엄요와 같은 복장을 입어서 농부와 같은 느낌을 주는 무복이 특이한 점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음악이 길상지곡을 연주하면 악사가 탁자를 받들어 든 기녀 두 명을 거느리고 들어가 전 내에 두고 나간다. 1박을 치면 선모가 경풍도를 받들고 앞으로 나가면 음악이 그치고 창사를 부른다. 창사가 끝나고 2박을 치면 향당교주하고 선모는 경풍도를 들고 꿇어앉아 탁자 위에 놓고 엎드렸다가 일어나 춤 동작으로 조금 물러서면 음악이 그친다. 3박을 치면 세취로 가곡 편을 연주하고 협무가 창사를 한다. 4박을 치면 향당 교주를 하고 5박을 치면 선모가 또 춤 동작을 한다. 6박을 치면 후대가 춤 동작으로 나란히 줄지어 춤을 추며 앞으로 나가 선다. 7박을 치면 선모와 후대 다섯 사람이 각각 상대하며 나갔다 물러났다 하면서 춤을 춘다. 8박을 치면 빙빙 돌면서 춤을 추고 9박을 치면 다시 처음의 대열로 돌아가서 춤을 추고 10박을 치면 춤을 추며 나가 선다. 11박을 치면 손을 여미며 족도를 하고 12박을 치면 춤을 추며 물러나고 음악이 그친다.
다음은 ‘고구려무’에 대해 살펴보자. 고구려무는 중국 수대 영향을 받은 춤으로 이전 고구려 시대부터 전해 오는 역사가 깊은 춤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고구려무는 조선 순조 시대에 그 내용을 많이 더하기도 하고 춤의 가락과 동작도 정교하고 복잡하게 고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춤은 원래 무동 여섯 명이 3대로 나뉘어서 서로 상대하여 춤을 추었다. 그러나 이 고구려무는 고구려의 춤이 고스란히 전해오는 것이라기보다는 옛 고구려 시기를 회상하면서 만들어진 창작 춤이라고 볼 수 있다. 고구려무의 춤의 구성을 살펴보자. 음악은 기라향을 연주한다. 1박을 치면 무원 여섯 명이 손을 여미고 족도 하면서 나가 선다. 음악이 그치고 나면 창사를 한다. 2박을 치면 향당 교주를 한다. 향당 교주라 하면 궁중정재에 연주되는 음암을 통상적으로 말한다고 할 수 있다. 3박을 치면 춤 동작으로 상대한다. 살짝 등을 보였다가 또는 마주 보며 나갔다 물러났다 하며 빙빙 몸을 도리면서 춤을 춘다. 4박을 치면 손을 여미며 족도 하고 5박을 치면 춤추며 물러나고 음악이 그친다. 이백은 고구려 사람들의 춤을 보면서 다음과 같은 시를 남겼다. ‘금화 절풍모를 쓰고 백마로 더디 도네. 번득이는 넓은 소매, 해동 새가 온 듯하네.’ 이 시를 살펴보면 이 춤은 그 복장이나 동작이 고구려로부터 전하는 춤이라고 하기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그러므로 고구려무는 고구려에 관한 시를 창사로 불러 옛 고구려를 회상하며 재 구성된 새로운 창작춤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무산향’은 춘앵전과 비슷한 춤이며 혼자서 추는 춤이다. 춘앵전이 화문석 위에서 춤을 추는 것이라면 무산향은 대모반이라 하는 침상 모양의 틀 위에 올라가서 그 위에서 춤을 춘다. 무산향 춤의 복장을 살펴보면, 무동은 아광모를 쓰고 낭사내공 홍과 천수의 금사자 백질 특선상 녹라퀘자를 입는다고 전해진다. 또한 녹사 한 상을 매고 학정 아대를 띠고 능피리를 신는다고 송수남 씨의 무용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기록되어 있다. 무산향의 구성을 살펴보면, 음악이 경춘광 지곡을 연주하면 악사가 대모반을 받든 기를 거느리고 들어가서 전 내에 놓고 나간다. 1박을 치면 한 사람의 무원이 손을 여미고 족도 하며 대모반 가운데로 나가 서면 음악이 그치고 창사를 부른다. 2박을 치면 향당 교주 한다. 향당 교주라는 것은 일반적으로 궁중 정재에 있어서 반주를 하는 음악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춤을 출 때의 반주 음악을 향당 교주라고 많이 일컬었다. 3박을 치면 춤의 동작을 하며 조금 물러선다. 4박을 치면 오른쪽으로 한 번 돌리면서 조금 나가서 서고, 5박을 치면 왼쪽으로 한 번 돌리면서 반가에 이른다. 6박을 치면 소매를 들어 뒤로 뿌리며 7박을 치면 소매를 들어 빙글빙글 돌면서 반 가장자리로 물러난다. 10박을 치면 몸을 따라 허리 움직임을 절루에 맞추면서 춤을 추고, 11박을 치면 몸을 돌려서 반 가장자리에 즐기면서 춤을 춘다. 12박을 치면 몸을 옆으로 하여 족도 하며 나간다. 물러나서 춤을 추고, 13박을 치면 춤 동작으로 한 번 뿌리고 한 번 돌면서 춤을 춘다. 14박을 치면 좌우로 소매를 높이 들고 각각 한 번 돌면서 춤을 춘다. 15박을 치면 뒤로 소매를 던지고 16박을 치면 몸을 따라 허리 움직임을 악절에 맞추면서 춤을 춘다. 17박을 치면 몸을 춤 동작으로 나갔다 물러났다 하며 춤을 춘다. 18박을 치면 몸을 돌려 반가에서 즐기면서 춤을 춘다. 19박을 치면 소매를 높이 들며 춤을 추고, 20박을 치면 소매를 나부끼며 춤을 춘다. 21박을 치면 좌우로 한 번 돌고 물러나 반 아래에 이른다. 22박을 치면 좌우로 한 번 돌고 물러나서 반 아래에 이른다. 23박을 치면 손을 여미며 족도 하고, 24박을 치면 물러나고 음악이 그친다. 이와 같이 조선시대에 전해진 우리나라의 무용들 중 일부를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에 전해져 오는 춤들은 대부분이 현재에도 전해져 내려오는 춤들이 많다. 이는 정재의 형태이기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기는 춤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역사적인 의의가 깊으므로 국립국악원과 같은 국가 기관을 통하여 비교적 그 형태가 잘 보존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정재는 무용을 전공하였다고 하여도 배우기 어려운 춤들이므로 기회가 되면 정재가 실연될 때 꼭 관람하여 그 전통과 예술의 우수성을 관찰하기를 바란다.